안드로이드 6주차 세션 복습/정리
android안드로이드 6주차 세션 정리를 맡은 오승언입니다.
지난 세션 : https://gdsc-seoultech.github.io/posts/2021-11-06-android_week5/
이번 주 세션은 지난 세션에서 배운 ViewModel의 개념을 활용해서 적용하는 것을 위주로 진행되었습니다.
ViewModel이 없다면 지금까지 진행한 방식처럼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가지고 와야 합니다.
1. ViewModel Class 만들기
ViewMode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ViewModel 클래스를 만들어야 합니다.
class CheggViewModel : ViewModel() {
//생략
}
전체 코드 보기
class CheggViewModel : ViewModel() {
var myDeckList = mutableStateListOf<Deck>()
private set
var totalDeckList = mutableStateListOf<Deck>()
private set
var searchScreenState = mutableStateOf(SearchState.ButtonScreen)
private set
var queryString = mutableStateOf("")
private set
fun setQueryString(query: String) {
queryString.value = query
}
fun toButtonScreen() {
searchScreenState.value = SearchState.ButtonScreen
}
fun toQueryScreen() {
searchScreenState.value = SearchState.QueryScreen
}
fun toResultScreen() {
searchScreenState.value = SearchState.ResultScreen
}
fun getQueryResult() =
totalDeckList.filter { deck ->
deck.deckTitle.lowercase(Locale.getDefault()).contains(queryString.value.lowercase())
}.toMutableStateList()
init {
myDeckList = SampleDataSet.myDeckSample.toMutableStateList()
totalDeckList = SampleDataSet.totalDeckSample.toMutableStateList()
}
}
변수선언 부분 먼저 보겠습니다.
var myDeckList = mutableStateListOf<Deck>()
private set
var totalDeckList = mutableStateListOf<Deck>()
private set
var searchScreenState = mutableStateOf(SearchState.ButtonScreen)
private set
var queryString = mutableStateOf("")
private set
사용되는 데이터를 ViewModel에서 선언을 해줍니다.
remember는 왜 안쓰나요?
remember
의 역할은 recomposition이 발생했을 때, state가 변하지 않고 유지하게끔 하는 것입니다. 이 기능은 ViewModel에서 자동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ViewModel에서는 remember
를 사용하여 선언하지 않아도 됩니다.
private set이 뭔가요?
자바와 다르게, 코틀린에서는 getter/setter 메소드를 따로 만들지 않아도 직접 접근해서(실제로는 직접 접근은 아니지만, 사용자 입장에선)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ivate set
은 getter메소드는 자유롭게 두는 반면, setter메소드의 기능을 제한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음은 함수 부분입니다.
// queryString값 변경
fun setQueryString(query: String) {
queryString.value = query
}
// ButtonScreen으로 이동
fun toButtonScreen() {
searchScreenState.value = SearchState.ButtonScreen
}
// QueryScreen으로 이동
fun toQueryScreen() {
searchScreenState.value = SearchState.QueryScreen
}
// ResultScreen으로 이동
fun toResultScreen() {
searchScreenState.value = SearchState.ResultScreen
}
// 쿼리 결과를 가져오는 함수
fun getQueryResult() =
totalDeckList.filter { deck ->
deck.deckTitle.lowercase(Locale.getDefault())
.contains(queryString.value.lowercase())
}.toMutableStateList()
getQueryResult()의 문법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이 5줄짜리 코드는 편의를 위해 바뀐 부분이 있습니다.
fun getQueryResult() =
기존에는 fun getQueryResult() : Int { return 100 }
이런 식으로 사용했는데, 이렇게 리턴하는 것을 간략화 한 것입니다. Kotlin에서는 타입을 유추하기 때문에 타입을 생략하고 return도 =
으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한 것입입니다. 다음은 리턴 생략 제거버전입니다.
fun getQueryResult() : SnapshotStateList<Deck> {
return totalDeckList.filter{
it.deckTitle.lowercase(Locale.getDefault()).contains(queryString.value.lowercase())
}.toMutableStateList()
}
it
제거 버전입니다.
fun getQueryResult() : SnapshotStateList<Deck> {
return totalDeckList.filter{ deck ->
deck.deckTitle.lowercase(Locale.getDefault()).contains(queryString.value.lowercase())
}.toMutableStateList()
}
totalDeckList
에서 deck
의 deckTitle
를 소문자로 바꾸고, 그 deckTitle이 queryString
값을 포함하고 있으면 List로 반환합니다.
마지막으로 초기화하는 부분입니다.
init {
// SampleDataSet의 myDeckSample 리스트에서 데이터를 가져옴
// myDeckSample : 내가 생성한 Deck
myDeckList = SampleDataSet.myDeckSample.toMutableStateList()
// SampleDataSet의 totalDeckSample 리스트에서 데이터를 가져옴
// totalDeckSample : 모든 사용자가 생성한 Deck
totalDeckList = SampleDataSet.totalDeckSample.toMutableStateList()
}
초기화를 그냥 하면 되지 init{}은 왜 쓰나요?
Kotlin에서는 초기화를 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자바와같이 constructor를 쓰는 것이고 두 번째는 init block(init{}
)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두 방법 모두 객체 호출 시 실행됩니다.
constructor는 다시 Primary constructor, Secondary constructor로 나눌 수 있는데, 클래스를 생성할 때 클래스 이름 오른쪽 부분class Person(val name : String, val age : Int){ }
이 바로 Primary constructor이며 Secondary constructor는 클래스 내부에 constuctor키워드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init block도 내부에 선언)
특이한 부분은 init
은 Primary constructor의 일부라는 점입니다.
또한 init
은 Primary constructor가 초기화 한 후 바로 실행이 됩니다.
즉, Primary constructor
-> init block
-> Secondary constructor
순서로 초기화가 됩니다.
그래서 왜 쓰나요?
Primary constructor((val name : String, val age : Int)
부분)는 print
와 같은 코드를 넣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init{ }
은 넣을 수있으며 Primary constructor이후 바로 실행이 됩니다. 이런 이유로 사용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2. ViewModel의 적용
ViewModel class를 만들었으니 적용할 차례입니다.
ViewModel을 사용하기 전에, 사용할 composable의 인자와 그 composable이 사용되는 곳의 인자를 꼭 넣어주도록 합시다.
(예시)
HomeScreen(navController, cheggViewModel)
@Composable
fun HomeScreen(navController: NavHostController, viewModel: CheggViewModel){
...
}
HomeScreen.kt
HomeScreen.kt
로 이동해서 데이터를 직접가져오는게 아니라 만든 ViewModel을 활용해서 가져오도록 고칩니다.
0 -> SampleDataSet.deckSample.forEach{ ... }
1 -> SampleDataSet.deckSample.filter { it.bookmarked }.forEach{ ... }
2 -> SampleDataSet.deckSample.filter { it.deckType == DECK_CREATED }.forEach{ ... }
to
0 -> viewModel.myDeckList.forEach{ ... }
1 -> viewModel.myDeckList.filter { it.bookmarked }.forEach { ... }
2 -> viewModel.myDeckList.filter { it.deckType == DECK_CREATED }.forEach{ ... }
SearchScreen.kt
다음은 SearchScreen.kt
에서의 ViewModel 적용입니다.
기존의 screenState remember변수와 queryString remember 변수는 ViewModel로 이동했습니다.
코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대부분의 동작이 ViewModel로 넘어갔습니다.
@Composable
fun SearchScreen(navController: NavHostController, viewModel: CheggViewModel) {
when (viewModel.searchScreenState.value) {
SearchState.ButtonScreen -> {
SearchButtonScreen {
if(viewModel.queryString.value.isNotBlank()) {
viewModel.toResultScreen()
} else {
viewModel.toQueryScreen()
}
}
}
SearchState.QueryScreen -> {
SearchQueryScreen(
queryString = viewModel.queryString.value,
setQueryString = viewModel::setQueryString,
toButtonScreen = viewModel::toButtonScreen,
toResultScreen = viewModel::toResultScreen
)
}
SearchState.ResultScreen -> {
SearchResultScreen(
queryString = viewModel.queryString.value,
setQueryString = viewModel::setQueryString,
getQueryResult = viewModel::getQueryResult,
toButtonScreen = viewModel::toButtonScreen,
toDeckScreen = {
navController.navigate(Screen.Deck.route + "/${it.deckTitle}/${it.cardList.size}")
}
)
}
}
}
[viewModel::] <- 이거 뭔가요?
위 코드의 경우 viewModel::
은 함수 참조를 위해 쓰인 것입니다.
또한, 함수를 참조함과 동시에 값으로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
(더블콜론)은 클래스참조, 프로퍼티참조, 생성자참조를 위해 쓰이기도 합니다.
3. 마무리
이번 주차는 ViewModel class를 만들고 이를 HomeScreen
과 searchScreen
에 적용하는 것을 했습니다.
사실 진도를 별로 못나가서 복습 내용보다 저를 포함한 멤버분들이 궁금할만한 부분들을 알아와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끝!